분류 전체보기88 연결 송수관 설비 연결 송수관 설비는 고층 건물에 설치하여 소방대가 건물 내의 소화 작업을 할 때, 외부의 송수구에서 물을 공급하여 현장의 방수 구에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 (1) 연결 송수관 설비의 종류 1) 습식 : 고가수조에 의하거나, 옥내 소화전 등의 입상 관과 겸용하여 물이 충만하여 있는 방식 - 높이 31m 이상 또는 11층 이상의 고층 건물에는 습식으로 설치해야 함 - 송수구 - 자동 배수밸브 - 체크밸브 - 개폐 밸브의 순으로 설치 - 송수구 입상 배관의 개폐 밸브 설치 여부 ㄱ. 옥내 소화전 설비의 송수구 : 설치 금지 ㄴ. 스프링클러 설비의 송수구 : 설치 가능 ㄷ. 연결 송수관 설비의 송수구 : 언급 없음 * 스프링클러 설비 기준이 우선이며, 유지 관리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2) 습식 .. 2023. 6. 12. 소화 펌프의 특성, 성능 기준, 선정 기준, 성능시험 소화 펌프는 화재 시 소화설비에 가압수를 규정된 압력과 유량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 급수펌프와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른 특성이 있음 (1) 소화 펌프의 특성 1) 토출량이 일정하지 않다. - 일반적인 펌프와 달리, 개방된 헤드의 수 또는 사용되는 소화전의 수량에 따라 토출량이 많이 변함 - 토출량의 급격한 변화에도 펌프가 이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작동되는 소화설비에서 규정된 방사 압력과 유량을 낼 수 있어야 함 - 법적 기준 또는 성능 기준에 의한 규정된 방사압력과 토출압력 이상을 일정 시간 유지해야 함 3) 고층 건물의 고층 부분에도 일정 압력과 유량을 내어야 함 - 수십 층 이상의 초고층 건물에서도 일정한 방사 압력과 유량이 발휘되어야 하므로, 일반 펌프보다 고양정.. 2023. 6. 11. 폭발 방지 방법과 불활성화의 방법 폭발의 방지대책은 크게 가연성 물질의 농도제어, 불활성화, 점화원 관리, 전기설비의 방폭 화 방법으로 분류함. (1) 가연성 물질의 농도제어 1) 폭발 재해의 발생 원인은 대부분 가연성 가스나 인화성 액체의 증기가 공기와 혼합되어 폭발범위 내의 가연성 혼합기를 형성하며 발생 2) 혼합가스 농도가 폭발 범위 밖에서 유지되는 상태에서 모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폭발을 방지 3) 구체적인 방법 - 공기 중으로 가연성 가스나 인화성 액체의 누설, 누출 방지 - 밀폐 용기 내에서 취급하면서 공기의 유입 방지 - 공기 주입 또는 적절한 환기를 하여 폭발 하한계 미만으로 농도를 희석 (2) 불활성화의 방법 1) 불활성가스 주입 -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분위기 중의 산소농도를 낮춰 산화 폭발을 방지 - 불.. 2023. 6. 8. 비등 액체 팽창 증기 폭발(BLEVE), Fire Ball - 비등 액체 팽창 증기 폭발이란 고압 상태인 액화가스 용기가 가열되어 물리적 폭발이 순간적으로 화학적 폭발로 이어지는 현상으로 탱크 증기 폭발과 이것에 계속하여 발생하는 가스 폭발을 총칭, 인화점이나 비점이 낮은 인화성 액체(유류)가 가득 차 있지 않은 저장 탱크 주위에 화재가 발생하여 저장 탱크 벽면이 장시간 화염에 노출되면 윗부분 온도가 상승하여 재질의 인장력이 저하되고 내부의 비등 현상으로 인한 압력 상승으로 저장탱크 벽면이 파열되는 현상 (1) 비등 액체 팽창 증기 폭발 발생의 메커니즘 1) 액화가스 저장 탱크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 2) 화염에 의해 탱크가 가열됨 3) 탱크 내부의 액체가 가열되고, 안전밸브가 작동 4) 안전밸브의 용량이 적으므로, 높은 증기 압력이 형성 5) 액체가 충분히 가열.. 2023. 6. 7. 증기운 폭발(UVCE) 증기 운 폭발의 다량의 가연성 가스가 급격히 방출되어 증기가 분산되어 공기와 혼합되면서 증기 운을 형성, 증기의 점화로 발생하거나 폭연을 일으키며 Vapor Cloud Explosion이나 Flash Fire를 발생 (1) 누출 시 증기 운 형성 과정에 따른 가스의 분류 1) Class 1 (LNG, 저온 에탄) - 대기압에서 저온 액화된 물질로 저장 온도가 주위 온도보다 낮음 - 이러한 가스가 유출되면, 주위의 열에 의해 급속히 기화하며, 이에 따라 주위의 온도가 냉각되면 증발 속도가 둔화 2) Class 2 (LPG, 부탄) - 상온에서 가압하여 액화시킨 가스 - 이러한 가스가 누출 시, 압력이 저하되어 순간적으로 증발 이를 Flashing이라 함 3) Class 3 (벤젠, 헥산) - 그 물질의 비.. 2023. 6. 7. 분체 화재와 목조화재 분체란 일반적으로 1,000[㎛] 이하의 크기를 가진 미세한 고체입자의 집단을 말함, 미세 고체가 떠 있는 것은 분진이라 하며, 퇴적된 상태로 있는 것을 분체라 함. 일반적인 고체에 비해 연소하기 쉽고, 휘발분의 발생 정도에 따라 발염 연소 되거나 훈 소 화제가 됨 (1) 분체의 특징 1) 고체가 미분화되어 기체 또는 액체 속에 치밀하게 분산된 상태이므로 가연성 혼합기의 형성이 용이 2) 분체는 기체나 액체와 달리 입도 등의 성질이 불균일 - 분체의 물성은 확률적 통계치로만 표현 가능 3) 분체는 단위 무게당 표면적이 매우 크고, 부착성, 정전기 발생률 등이 큼 (2) 분체의 연소 특정 1) 표면 연소(휘발성분이 없는 경우) - 분체 입자 표면에 산소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표면연소가 일반적 2) 분해 연소.. 2023. 6. 7.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다음